본문 바로가기
AI

Cursor AI : Mode와 Context 활용으로 개발 생산성 2배로 높이기

by 느바 2025. 7. 12.
반응형

Cursor AI : Mode와 Context 활용으로 개발 생산성 2배로 높이기

출처: https://cursor.sh/docs

목차

  1. Cursor의 두 가지 모드
  2. Context 활용하기
  3. 실전 활용 팁

Cursor의 두 가지 모드

Cursor modes

1. Agent 모드

Agent 모드는 마치 실제 프로그래머와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처럼 동작합니다.

특징:

  • 코드를 직접 수정하고 작성할 수 있음
  • 프로젝트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고 작업
  • 파일 생성, 수정, 삭제 가능
  • 더 긴 대화가 가능하며 이전 맥락을 기억

이럴 때 사용하세요:

  •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할 때
  • 버그 수정이 필요할 때
  • 코드 리팩토링할 때
  • 여러 파일을 동시에 수정해야 할 때

2. Ask 모드

Ask 모드는 빠른 질문과 답변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모드입니다.

특징:

  • 빠른 응답 속도
  • 간단한 질문-답변 형식
  • 코드 수정 기능 없음
  • 이전 대화 맥락을 기억하지 않음

이럴 때 사용하세요:

  • 문법이나 함수 사용법을 물어볼 때
  • 에러 메시지 해석이 필요할 때
  • 간단한 코드 설명이 필요할 때
  • 빠른 참조가 필요할 때

Context 활용하기

Context란?

Context는 Cursor AI가 여러분의 프로젝트를 더 잘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'배경 지식'입니다.

마치 새로운 팀원에게 프로젝트 문서를 전달하는 것처럼, AI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거죠!

Context 등록 방법

  1. Cursor 에디터 열기
  2. Open Chat' (Windows: Ctrl+i, Mac: Cmd+i)
  3. 채팅창에서 /docs 또는 /rules 명령어 입력
  4. 채팅창에서 /context 명령어 입력하면 현재 프로젝트에 등록된 Context 내용을 보여준다.(Docs Context, Rules Context)

1. Docs Context

특징:

  • 프로젝트의 기술 문서나 가이드라인 등록
  • 사용 중인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 정보 제공
  • 프로젝트 구조와 아키텍처 설명

등록 예시:

/docs
프로젝트명: React Shopping Mall
기술스택:
- Frontend: React 18, TypeScript
- 상태관리: Redux Toolkit
- UI 라이브러리: Material-UI v5
- 스타일링: Styled-components

주요 디렉토리 구조:
src/
  ├── components/     # 재사용 가능한 UI 컴포넌트
  ├── pages/         # 페이지 컴포넌트
  ├── hooks/         # 커스텀 훅
  ├── store/         # Redux 관련 파일
  └── styles/        # 전역 스타일 및 테마

API 엔드포인트: https://api.shop.example.com/v1
디자인 시스템: Figma - https://figma.com/file/example

2. Rules Context

특징:

  • 코딩 컨벤션 정의
  • 프로젝트 규칙 설정
  • 커스텀 요구사항 지정

등록 예시:

/rules
코드 스타일:
- React 컴포넌트는 함수형으로 작성
- Props 타입은 interface로 정의
- 스타일 컴포넌트 네이밍: Styled[컴포넌트명]
- CSS-in-JS 사용시 styled-components 사용

네이밍 규칙:
- 컴포넌트: PascalCase (예: ProductCard)
- 함수/변수: camelCase (예: getUserData)
- 상수: UPPER_SNAKE_CASE
- 타입/인터페이스: PascalCase, 접두사 'I' 사용

코드 품질:
- 컴포넌트당 최대 300줄
- 함수당 최대 50줄
- 중첩 삼항연산자 사용 금지
- useEffect 의존성 배열 필수

에러 처리:
- API 호출은 try-catch로 감싸기
- 사용자 피드백 필수 (토스트/모달)
- 에러 로깅 구현

Context 활용 시나리오

  1. 새로운 기능 개발 시
User: "장바구니 기능을 추가하고 싶어요."
Cursor: "네, Rules Context에 정의된 대로 함수형 컴포넌트와 
        TypeScript interface를 사용해서 구현하겠습니다."
  1. 코드 리뷰 시
User: "이 코드 리뷰 좀 해주세요."
Cursor: "Docs Context의 디렉토리 구조에 따라, 
        이 컴포넌트는 components/ 폴더로 이동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"
  1. 버그 수정 시
User: "API 호출 에러가 발생해요."
Cursor: "Rules Context에 정의된 대로 try-catch와 
        사용자 피드백을 추가하겠습니다."

Context 활용 팁

  1. 정기적인 업데이트
    • 새로운 라이브러리 추가 시 Docs 업데이트
    • 팀 규칙 변경 시 Rules 업데이트
    • 프로젝트 구조 변경 시 즉시 반영
  2. 상세한 정보 제공
    • 버전 정보 명시
    • 링크는 구체적인 URL 사용
    • 예시 코드 포함
  3. 팀 협업 시
    • 팀원들과 Context 내용 공유
    • Git을 통해 Context 파일 관리
    • 주기적인 Context 리뷰

실전 활용 팁

1. 모드 전환 시기

   - 복잡한 작업 시작 → Agent 모드
   - 빠른 검색이나 질문 → Ask 모드


2. Context 추가 시기

   Docs Context 추가가 필요한 경우:


   -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시   

예시: 새로운 React 프로젝트 시작 시
     /docs
     프로젝트명: 쇼핑몰 프로젝트
     기술스택: React 18, TypeScript
     디렉토리 구조: src/, components/, pages/...

      

- 외부 API나 라이브러리 사용 시

   예시: 결제 모듈 추가 시
     /docs
     결제 API: Stripe v3
     엔드포인트: https://api.stripe.com/v1
     인증방식: Bearer Token

   
   - 프로젝트 구조 변경 시

예시: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도입 시
     /docs
     서비스 구조:
     - auth-service: 인증/인가 처리
     - product-service: 상품 관리
     - order-service: 주문 처리



Rules Context 추가가 필요한 경우:


   - 코딩 컨벤션 설정 시   

예시: 팀 코딩 스타일 통일
     /rules
     - 들여쓰기: 2칸
     - 세미콜론 필수
     - 함수는 화살표 함수 사용

    
   - 프로젝트 규칙 정의 시

예시: 성능 최적화 규칙
     /rules
     - 이미지는 WebP 형식 사용
     - 번들 크기 500KB 이하 유지
     - 중첩 컴포넌트 최대 3depth

    
   - 개인 취향이나 선호도 설정 시 

예시: 개인 개발 스타일
     /rules
     - 주석은 한글로 작성
     - 변수명은 설명적으로
     - console.log 사용 금지


3. Context 관리 전략

    
  단기 프로젝트:
   - 최소한의 필수 정보만 Docs에 등록
   - 핵심 규칙만 Rules에 정의
   
   장기 프로젝트:
   - Docs는 단계별로 확장하며 업데이트
   - Rules는 팀 피드백 반영하여 진화
   
   팀 프로젝트:
   - Docs: README.md와 동기화
   - Rules: ESLint 규칙과 일치시키기


4. Context 활용 모범 사례

   
효율적인 Docs 관리:
   - 버전 정보 항상 최신화
   - 링크는 구체적인 URL 사용
   - 예시 코드 포함
   
   효과적인 Rules 설정:
   - 규칙은 구체적으로 작성
   - 예외 상황도 명시
   - 이유(why)도 함께 설명


5. 주의사항


   - Context는 프로젝트별로 독립적 관리
   - 민감한 정보(API 키 등)는 제외
   - 정기적으로 유효성 검토
   - 팀원들과 공유 시 별도 문서화

 

참고:

Rules 넣을 내용 참고할 만한 사이트 :
https://cursor.directory/

 

스타일 참고를 위해 Docs에 넣을 만한 사이트 :

https://ui.shadcn.com/

'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uperClaude : 프롬프트 엔지니어링  (2) 2025.08.17
DeepSeek로 인해 엔비디아(NVIDIA)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  (1) 2025.01.31
딥시크(DeepSeek)와 ChatGPT 비교  (0) 2025.01.31
GPU Farm  (3) 2025.01.19
DC vs AI DC  (0) 2025.01.19